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정보/원리

전기 자동차 상식 1편 - 전기차의 종류(EV, PHEV, HEV)

자동차 관련 블로거 카포메이션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차의 종류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한다. 자동차의 연료는 다양하다. 두 부류로 크게 나누자면, 화석 연료를 쓰는 부류와 친환경 에너지를 쓰는 부류이다.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는 가솔린 자동차, 디젤 자동차, 가스 자동차가 있고,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는 자동차는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소 자동차가 있다. 이 중에 전기(EV), 하이브리드(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를 알아보겠다.

첫 번째로 하이브리드 자동차(HEV)에 대해서 알아보자. 하이브리드는 영어 단어 Hybrid이고 두 가지 이상의 기술을 접목했다는 뜻으로 순수 전기차가 아닌 내연기관 엔진도 장착되어 있다. 사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전기차 쪽보다는 내연기관 자동차 쪽에 가깝다. 그 이유는 주 동력원이 엔진이고, 보조 동력원이 모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보조 동력원으로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얻는 장점이 있다. 저속 주행 시 모터로만 구동하고 일정 속도 이상 주행 시 내연기관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저속으로 달릴 일이 많은 도시에서 많이 운전한다면 상당히 좋은 연비를 얻을 수 있다. 보조 동력원이 모터여서 작은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행을 하면서 저절로 충전할 수 있어서 충전할 필요가 없고, 충전기도 필요없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많은 모델이 존재한다. 국산차에서도 쏘나타, 코나, 아이오닉 니로 등등 많은 모델에 적용되어 있다.

두 번째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에 대해서 알아보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부터는 전기차 쪽에 더 가깝다고 말할 수 있다. 플러그인이라는 단어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플러그로 충전할 수 있는 자동차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반대로 주 동력원이 모터이며 보조 동력원이 엔진이다. 배터리가 충전됐을 때는 전기 자동차처럼 전기를 사용하여 주행하고 배터리가 다 됐을 때는 엔진을 사용하여 내연기관 자동차처럼 주행하는 방식이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중에 가장 유명한 모델은 영화 미션 임파서블에도 나온 차량인 bmw i8이 있다. 국산차에서는 니로와 아이오닉이 유명하다.

세 번째로 전기 자동차(EV)에 대해서 알아보자. 사실 더 알아볼 것도 없다. 정말 이름 그대로 전기만 사용해서 주행을 한다. 전기 자동차 시장을 이끌고 있는 유명한 회사인 테슬라가 있고, 국산차에서는 니로, 아이오닉 등등 있다. 간단하게 앞에 설명한 3가지 종류의 차량의 장점을 말해보면 연비가 좋고, 연료가 저렴하며, 차량 유지비가 저렴하고, 조용하고, 친환경적이며 전기 자동차는 전용 번호판을 사용할 수 있다. 단점은 같은 모델이라도 내연기관 모델보다 비싸고, 사고가 나면 수리비가 비싸고, 아이러니하지만 조용해서 위험할 수 있고, 계절마다 배터리 사용량이 달라지며 충전소가 부족하다. 이번 포스팅이 전기 자동차의 종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길 바라며 다음 포스팅에서는 전기 자동차 모터의 구조에 대해서 다뤄볼 것을 알리며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다.

 

공감 눌러주시면 감사합니다^^

 

 

전기 자동차 상식 2편 - 전기차 엔진의 구조

자동차 관련 블로거 카포메이션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1편에 이어서 좀 더 심화적인 내용을 알아보려고 한다. 전기 자동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와 완전히 다른 구조의 엔진을 가지고 있다. 바로

mujabi.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