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공부 방법의 처음은 클론 코딩이라고 생각합니다
무작정 클론 코딩을 하기엔 모델이 너무 복잡해져서 쉽지 않을거 같습니다.
2020년 정도를 기점으로 생성형 AI의 시대가 됐습니다.
LLM, 이미지 생성을 넘어서 올해는 비디오 생성의 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동영상 생성형 ai 관련 최신 모델 정리 - 2024.12.20 기준
https://replicate.com/blog/ai-video-is-having-its-stable-diffusion-moment AI video is having its Stable Diffusion moment replicate.com참고 링크 OpenAI Sora가 출시되면서 본격적으로 동영상 생성형 AI의 발전 속도가 더 빨라지
mujabi.tistory.com
비디오 생성 분야는 2023년에 비해서 2024년이 매우 많이 발전했습니다.
물론 아직도 RTX4090으로 5초짜리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5분이 걸리지만 많은 기업들이 비디오 생성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Civitai: The Home of Open-Source Generative AI
Explore thousands of high-quality Stable Diffusion & Flux models, share your AI-generated art, and engage with a vibrant community of creators
civitai.com
위 링크는 이미지, 비디오 생성과 관련하여 유명한 커뮤니티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qmWqd-op1c&t=573s
Civitai에 올라온 결과물을 직접 내가 만들려면 꼭 코딩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코딩보다는 WebUI를 사용하고 대표적으로 ComfyUI, AUTOMATIC1111이 있습니다.
WebUI를 사용하면서 제가 깨달은 건, AI 분야를 나눌 때 이미지, 자연어, 생성형 이렇게 나눌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라 생성형 AI는 AI와 관련된 모든 분야가 융합된 것을 알았습니다. 왜냐하면 생성형 AI를 써서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A모델, B모델, C모델 등등을 거쳐서 하나의 결과가 만들어집니다. A모델은 이미지모델, B모델은 자연어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써보면서 이 모델이 생성형 AI의 이 과정에서 쓰인다는 걸 직접 느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생성형 AI(특히 최신 SOTA 모델)를 써보면서 연구 방향을 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컴퓨터 >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Xiv에 올라온 딥러닝 관련 분야별 논문 통계 볼 수 있는 사이트 - researchtrend.ai (0) | 2025.01.20 |
---|---|
Voice ai 관련 중요한 한국인 저자 논문 (0) | 2024.12.26 |
comfyui group 비활성화 방법 (0) | 2024.12.26 |
OmniGen: Unified Image Generation 논문에서 사용한 평가 지표 (1) | 2024.12.24 |
comfyui 설치 (0) | 2024.12.07 |